You signed in with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igned out i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witched accounts o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Dismiss alert
위의 코드에서 `process.env.KAKAO_API_KEY`는 위의 env 파일에서 정의한 API 키 값을 의미합니다. `autoload=false` 부분은 나중에 생성할 KakaoMapContainer 컴포넌트의 source 코드가 위의 코드보다 먼저 실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libraries=services,clusterer,drawing` 부분은 지도와 함께 사용할 라이브러리를 지정하는 부분입니다. 지도에 마커를 표시하기 위해 위와 같이 라이브러리를 지정하였습니다.
103
103
`Script` 컴포넌트는 4가지 스크립트 로딩 전략을 지원합니다. `strategy` 속성에 로딩 전략을 지정할 수 있으며, `beforeInteractive`는 Next.js 코드와 hydration 과정 이전에 스크립트를 로딩해야 할 때 사용합니다.
Copy file name to clipboardExpand all lines: _posts/2024-06-22-expressjs-typescript.md
+4-4Lines changed: 4 additions & 4 deletions
Display the source diff
Display the rich diff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156,13 +156,13 @@ npm run dev
156
156
157
157
서버가 실행되면 브라우저를 열고 <ahref="http://localhost:4000"target="_blank">http://localhost:4000/</a> 으로 접속합니다. 화면에 `Express with TypeScript`가 표시된다면 서버 실행에 성공한 것입니다.
위에서 설치한 패키지 중 `nodemon`은 코드 변경 시 서버를 자동으로 재시작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app.ts` 파일 내의 `res.send("Express with TypeScript")` 부분을 수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자열 `Express with TypeScript`를 `Express.js with TypeScript`로 수정한 후 파일을 저장합니다. 파일을 저장하면 `nodemon`이 `src` 디렉토리 내의 `app.ts` 파일을 재실행합니다. 서버가 재시작한 후 <ahref="http://localhost:4000/"target="_blank">http://localhost:4000/</a>에 다시 접속하면 `Express.js with TypeScript`가 화면에 표시되어 있을 것입니다.
-`import "@/styles/quillEditor.css";`: Quill 에디터를 커스텀하는 css 파일을 임포트합니다. 해당 부분은 아래 [Step 4 - Quill 에디터 커스텀하기](#step-4---quill-에디터-커스텀하기) 부분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93
93
-`modules`: Quill 에디터의 toolbar를 커스텀하는 부분입니다. 이미지 삽입 기능을 추가하거나 글씨 관련 기능 추가 등 여러 기능을 커스텀할 수 있습니다. 옵션들의 경우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94
94
95
95
<ahref="https://quilljs.com/docs/modules/toolbar"target="_blank">Toolbar Module - Quill Rich Text Editor</a>
Copy file name to clipboardExpand all lines: _posts/2024-07-19-challenge-day5.md
+3-3Lines changed: 3 additions & 3 deletions
Display the source diff
Display the rich diff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31,15 +31,15 @@ comments: true
31
31
32
32
이번 네이버 부스트캠프 9기에서는 **베이직** 과정이 신설되었습니다. **1차 문제 해결력 테스트** 결과에 따라 `2차 문자 해결력 테스트 직행자`, `베이직 입과자`, `탈락자`로 나누어졌습니다. 저는 **2차 문제 해결력 테스트 직행자**였지만 2차 문제 해결력 테스트 직행자도 베이직 참여를 권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베이직 과정에 참여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에서도 베이직 과정에 참여하겠다는 사람이 많았고, 실제로 베이직 참여자가 대략 1000명 정도 되었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베이직 과정에 참여한 것은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예전까지만 해도 저는 프로그래밍을 할 때 개발 과정에만 집중했지만 이번 베이직 과정을 진행하면서 문제 해결 과정에서 필요한 **구현 역량**뿐만 아니라 **설계 역량**을 키울 기회가 되었다는 점에서 큰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같은 미션을 다른 캠퍼분들이 어떻게 수행했는지 확인하면서 문제 해결에 필요한 아이디어를 얻는 방법도 학습할 수 있었습니다. 만약에 다른 분들도 네이버 부스트캠프에 참여하신다면 베이직에 참여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0 commit comments